eclipse에 github 연결해서 웹저장소에서 버전관리(repository)하기
아직 Git 플러그인을 설치하지 않았거나 github에서 repository를 만들지 않았다면, 위 2개의 글을 먼저 확인하시고 다시 오세요.
그리고 혹시, 다른 repository와 프로젝트가 연결돼 있다면 아래 그림처럼 disconnect 하셔서 먼저 연결을 끊으셔야 합니다.
Git Repositories 에서 [Clone a Git repository]를 클릭하세요~
URI에 https의 github URI를 입력해 주세요.
아래 그림처럼 Host와 Repository path를 분리해서 넣어주시구요.
github.com에서 만든 계정(user/password)도 입력해 주세요.
혹시, github.com의 repository URI를 모르신다면 아래 그림처럼 github.com 로그인하고 해당 repository 클릭해서 URI 확인하시면 됩니다.
[Next] 누르시고요.
자, repositories를 생성했으니 이걸 project와 연결해 보겠습니다.
연결할 project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셔서 [Team > Share Project...] 클릭하세요.
방금 생성한 repository 선택하시구요. [Finish] 버튼 누르세요.
자, 연결이 되었으니 소스를 올려볼까요?
[Add to Index] 하시면 Storage 영역에 해당 소스들을 올려놓게 됩니다.
*표로 파일이나 폴더가 표시됩니다.
[Commit and push] 하시면 github로 파일을 올릴 수 있습니다.
branch를 선택하시면 되는데요.
다른 branch를 만들지 않았다면 master가 기본입니다.
선택하시면 됩니다.
[OK] 버튼을 누르면 github로 소스 전송이 완료됩니다.
github에 로그인해서 소스가 정말 올라와 있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.
잘 올라와 있네요^^
이젠 저도 github를 잘 활용해서 장소와 상관없이 편리하게 개발도 하고, 다른 사람들과 협업도 해봐야겠습니다.
'JAVA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클립스 디컴파일러(JAD) 설정하기 (0) | 2016.06.10 |
---|---|
이클립스에 EGit 플러그인 설치 후 Github 연동 (0) | 2016.05.20 |
AES128 파일 암복호화 (0) | 2016.05.20 |
JAVA swing custum Dialog 만들기 (0) | 2016.05.20 |
AES, SHA256 암 복호화 (0) | 2016.03.02 |